
인포맨즈 뉴스
좋은 정보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공간
인포맨즈 뉴스
우리가 매일같이 열었다 닫는 냉장고. 과연 그 안에 있는 음식들은 제대로 보관되고 있을까? 대다수의 사람들은 냉장고에 보관하면 모든 음식이 더 오래, 더 신선하게 보존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최근 전문가들은 “냉장 보관이 오히려 식품의 맛과 영양을 해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가정에서 흔히 냉장고에 넣는 음식들 중, 실제로는 냉장 보관이 해롭거나 적합하지 않은 식품들을 과학적인 이유와 함께 소개한다. 더불어,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음식 보관법에 대해서도 짚어본다.
◆ 토마토 – 냉장고에 넣는 순간, 맛이 사라진다
토마토는 대표적인 열매채소로, 냉장 보관의 오해를 가장 많이 받는 식품 중 하나다. 실온에서 후숙이 이루어지는 특성상, 차가운 환경에서는 성숙이 멈추고, 안쪽 세포조직이 손상되며 풍미를 잃는다. 냉장고에 며칠만 보관해도 특유의 단맛과 산미의 조화가 무너지고, 껍질이 쪼글쪼글해지며 물컹해지기 쉽다.
토마토는 기본적으로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실온 보관하는 것이 적절하다. 단, 너무 익은 토마토의 경우는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할 수 있지만, 이때도 가능한 빨리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감자 – 차가운 곳에 두면 오히려 위험해질 수 있다
감자는 전분이 풍부한 식품이다. 그런데 이 감자를 냉장고에 보관하면, 전분이 당으로 변하는 과정이 촉진된다. 이렇게 변화한 당분은 조리 시 고온과 만나면서 ‘아크릴아마이드’라는 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물질은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인체에 해로울 수 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발암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감자는 냉장고보다 7~10도 사이의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서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다. 종이봉투에 넣어 직사광선을 피하고, 습기가 많지 않게 유지하면 더 오래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 양파 – 껍질째 냉장 보관은 금물
양파는 습도에 민감한 식재료다. 껍질을 벗기지 않은 통양파를 냉장고에 보관하면, 내부에 수분이 응축되면서 쉽게 썩거나 곰팡이가 생길 수 있다. 특히 냉장고 안의 다른 채소나 음식에서 나오는 습기와 냄새를 흡수하기 때문에, 품질 저하가 더 빨라진다.
통양파는 통풍이 잘 되는 그늘진 곳에서 망에 담아 보관하는 것이 좋다. 단, 자른 양파는 위생을 위해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하고, 빠르게 소비해야 한다.
◆ 빵 – 냉장 보관이 신선도를 유지할까?
많은 사람들이 빵을 곰팡이 걱정 때문에 냉장고에 넣는다. 그러나 이는 오히려 역효과를 낳는다. 빵은 냉장 온도에서 전분이 재결정화되면서 빠르게 딱딱해지고, 수분이 날아가 퍽퍽한 식감으로 변한다.
빵은 기본적으로 상온 보관이 원칙이며, 단기간에 먹지 않을 경우에는 밀폐 포장 후 냉동 보관하는 것이 좋다. 냉동한 빵은 자연해동하거나 토스터기에 살짝 데우면 부드러움을 되살릴 수 있다.
◆ 바나나 – 냉장고에 넣자마자 시커멓게 변하는 이유
바나나는 열대과일로, 따뜻한 환경에서 가장 잘 보관된다. 냉장고에 넣으면 껍질이 빠르게 시커멓게 변색되고, 과육도 물러지면서 식감이 나빠진다. 또한 저온에 노출되면 바나나 안의 당 성분 분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단맛이 떨어진다.
바나나는 실온에서 보관하되, 너무 익는 것이 걱정된다면 송이째 묶어서 걸어두거나, 숙성이 빨리 진행되지 않도록 종이봉투를 이용해 보관하는 방법이 있다. 이미 너무 익은 바나나는 냉동해 두었다가 스무디나 베이킹용으로 활용해도 좋다.
◆ 냉장 보관, 만능은 아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냉장고는 ‘무조건 신선함을 유지해주는 장치’로 여겨진다. 그러나 음식마다 적정 보관 온도와 조건은 제각각이며,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냉장 보관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특히 토마토, 감자, 양파, 빵, 바나나처럼 많은 사람들이 무심코 냉장 보관하는 식품들일수록 더 큰 주의가 필요하다.
◆ 올바른 음식 보관 습관을 위한 팁
◆ 마무리하며
냉장고는 분명 현대 가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가전이다. 그러나 무조건 냉장 보관을 고집하기보다는, 식품의 특성과 보관 원리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이 진정한 건강 지킴이의 첫걸음이다.
무심코 냉장고에 넣은 음식이 우리 식탁 위에서 어떤 맛과 영양을 보여줄지는, 결국 보관법에 달려 있다.
앞으로는 냉장고 문을 열기 전 한 번쯤 생각해보자. “이 음식, 정말 냉장고에 넣어도 될까?”
이 지면은 본문이 생략된
화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