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정보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공간
농촌 지역의 빈집이 새로운 생활과 창업, 문화 공간으로 변신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5년부터 ‘농촌소멸대응 빈집재생사업’을 본격 추진하며, 이를 위해 총 21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최근 도시민의 ‘4도3촌(4일 도시, 3일 농촌 거주)’ 생활, 주말 농장 운영, 청년들의 농촌 창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농촌 빈집 활용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빈집이 방치될 경우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도 커지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이 이번 사업의 핵심이다.
농식품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농촌 내 빈집을 정비하고, 이를 거주·창업·문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농촌소멸대응 빈집재생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을 통해 생활 인구를 늘리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경북 문경시는 1790년대 지어진 한옥, 오래된 양조장, 적산가옥 등을 카페, 한옥스테이, 로컬 마켓으로 재탄생시켜 연간 12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했다. 단순한 빈집 정비를 넘어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경제 모델을 구축한 대표적인 사례다.
해외에서도 유사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일본 야마나시현의 ‘고스게촌’은 150년 된 전통 가옥과 절벽 위의 집을 마을 호텔로 개조해 연간 18만 명의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이는 민관 협업을 통한 성공적인 빈집 활용 사례로 평가받는다.
농식품부는 이러한 사례를 바탕으로 빈집을 단순한 주거 공간이 아닌 ‘생활 기반 시설’로 조성할 계획이다. 빈집 우선 정비 구역을 선정해 다음과 같은 활용 방안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농촌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사람들이 오랫동안 머물고 싶은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목표다.
농식품부는 139개 농촌 지역 시·군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해 3곳을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된 지역은 3년 동안 총 21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빈집을 재생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시·군은 민간과 협업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으며, 사업 신청서 작성 후 3월 17일부터 21일까지 농식품부 농촌재생지원팀에 제출하면 된다. 전문가 평가를 거쳐 3월 중 최종 사업 대상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농촌 지역의 빈집이 새로운 공간으로 탈바꿈하며, 지역 경제와 공동체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많은 시·군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문의: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정책국 농촌재생지원팀 (044-201-1549)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이 지면은 본문이 생략된
화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