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정책
좋은 정보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공간
경제정책
가공식품 물가 급등… 1년 만에 최대 상승폭 기록
작성자: 인포맨즈 기자
가공식품 물가가 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며 서민들의 생활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원재료비와 물류비 상승, 환율 변동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1월 가공식품 물가지수는 122.03(2020년=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월(3.2%)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며,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2%)을 넘어선 수치다.
물가지수(Price Index): 특정 기준 연도의 가격을 100으로 설정하고, 이후 시점의 가격 변동을 비교하여 산출하는 경제 지표. 인플레이션 측정에 사용된다.
Among processed foods, the highest price increase was seen in dried squid (22.9%), followed by seasoned seaweed (22.1%), kimchi (17.5%), cereal (14.7%), probiotics (13.0%), and chocolate (11.2%).
Cooking essentials such as sesame oil (8.9%), soy sauce (8.8%), and cooking oil (7.8%) also saw a notable rise in prices. Flour-based products, including biscuits (7.0%), cakes (3.3%), and bread (3.2%), were not spared from the inflationary pressures.
인플레이션(Inflation): 일정 기간 동안 상품 및 서비스의 평균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 현상. 구매력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식품업체들은 올해 들어 줄줄이 제품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 동아오츠카는 포카리스웨트, 데미소다 등 주요 제품 가격을 인상했고, 대상은 마요네즈와 후추, 드레싱 등 소스류 가격을 평균 19.1% 올렸다.
팁(Tip): 한국에서는 물가가 오를 때 ‘대량 구매’가 유리할 수 있다. 장기 보관이 가능한 식품을 미리 구매하면 가격 인상에 대비할 수 있다.
SPC 파리바게뜨는 빵과 케이크 가격을 평균 5.9% 인상했고, 롯데웰푸드는 초코 빼빼로 등 26종 가격을 평균 9.5% 올릴 계획이다. 업계는 원재료비와 물류비 증가로 인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Food companies have been continuously raising product prices since the beginning of this year. Dong-A Otsuka increased the prices of major products like Pocari Sweat and Demi Soda. Daesang raised prices of mayonnaise, pepper, and dressing by an average of 19.1%.
원재료비(Raw Material Cost): 제품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의 가격. 원재료비가 상승하면 최종 소비자 가격도 영향을 받게 된다.
SPC Paris Baguette announced an average 5.9% increase in the prices of bread and cakes. Lotte Wellfood plans to raise the price of 26 items, including Choco Pepero, by an average of 9.5%. The industry explains that rising raw material costs and increased logistics expenses make price hikes unavoidable.
원·달러 환율 상승도 가공식품 물가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은 국내 제조업체의 부담을 가중시키며,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 상승 속도도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환율(Exchange Rate): 한 나라의 통화를 다른 나라의 통화로 교환할 때 적용되는 비율. 환율이 오르면 수입품 가격이 상승해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The rising KRW-USD exchange rate is expected to contribute further to processed food price increases. The rising cost of imported raw materials adds to the financial burden of domestic manufacturers, accelerating inflation experienced by consumers.
Tip: If you live in Korea, keep an eye on the exchange rate. A weaker KRW means higher prices for imported goods, so plan your grocery shopping accordingly.
이 지면은 본문이 생략된
화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