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포맨즈 뉴스
좋은 정보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공간
인포맨즈 뉴스
2024년 기준 전국의 빈집 수가 22만 호를 넘어선 가운데, 정부는 국민 누구나 빈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빈집애(愛)’ 누리집을 개편해 운영 중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4년 지자체 조사를 기준으로 전국에 존재하는 빈집은 총 226,390호로 집계됐다. 이 중 일부는 장기간 방치된 상태로, 범죄 위험·위생 문제·화재 위험 등 지역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로 번지고 있다.
특히 전라남도(20,005호), 전라북도(18,300호), 경상남도(15,868호) 등 지방 중소도시 및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빈집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나는 양상이다. 서울특별시의 빈집 수는 6,711호로 확인됐다.
정부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5년 3월, ‘빈집애(愛)’ 누리집(www.binzibe.kr)을 개편해 정식 운영에 들어갔다.
해당 플랫폼은 기존 ‘소규모정비사업알림e’ 시스템 중 빈집 관련 정보만을 별도 분리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갖춘다.
향후에는 빈집 거래를 중개하는 빈집 매매·임대 지원 기능도 도입될 예정이며, 민간 수요자가 직접 플랫폼에서 빈집 목록을 조회하고 연락할 수 있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정부는 단기적인 정보 제공을 넘어서, 중장기적으로 빈집 발생 및 확산을 예측하는 AI 분석 시스템도 도입할 방침이다.
2025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 사회현안 공모사업에 선정된 ‘지방소멸 위기 극복 빈집 정비 통합지원시스템 구축’ 과제를 통해, 아래와 같은 정보 기반 분석이 이뤄질 예정이다.
이를 통해 향후 빈집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정부의 예산과 정비 자원을 전략적으로 배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정책 강화와 더불어, 지방자치단체·민간 부문·주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빈집은 방치될 경우 도시 쇠퇴를 가속화할 수 있지만, 공공시설·창업 공간·청년 주거지 등으로 재활용된다면 오히려 지역 활성화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빈집애’ 누리집에서 소개되는 활용 사례들 중 일부는, 지역 커뮤니티 센터나 청년센터로 성공적으로 전환되어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낳고 있다.
‘빈집 문제’는 단순한 주거 공간의 문제가 아닌, 지역 소멸과 직결된 인구 구조 변화의 결과다. 정부는 정보의 공개, 거래의 투명화, 예측 기반 정책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이 문제에 대응하고 있으며, 향후 국민 누구나 빈집 정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 빈집 현황 확인 및 활용 사례 보기: www.binzibe.kr
이 지면은 본문이 생략된
화면입니다.